김영성 작가 개인전 《無·生·物》 개최
이엔갤러리, 2025. 11. 1. -11. 30.
본문
뉴욕 워터폴, 런던 플러스 원, 비엔나 펠렉스 홀러 등 해외 갤러리들의 러브콜을 받아 다수의 전시에 참여하며 세계 주요 도시에서 꾸준히 작품을 선보이고, 극사실주의의 거장으로 국내외 컬렉터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아온 김영성 작가의 개인전 ‘[無·生·物]’이 서울 평창동 이엔갤러리에서 개최된다.

김영성 [無. 生. 物], 2023 Oil on canvas 138 x 138 cm © 작가, 이엔갤러리

김영성 [無. 生. 物], 2025 Oil on canvas 126 x 126 cm © 작가, 이엔갤러리
김영성 작가의 작업은 물질문명이 고도화되는 현대 사회 속에서 생명이 위협받고 많은 것들이 사라지는 현실을 응시하는 연작이다. 작가는 생(生)과 물(物)이 한 화면 안에서 기묘하게 공존하는 순간을 광고 사진이나 연극적 장면처럼 연출하고, 이를 극사실주의 회화로 치밀하게 포착해 현대사회의 삭막함과 인간 존재의 허무를 드러낸다.
그가 주목하는 작은 생명들은 인간이 정한 식용, 관상용, 실험용이라는 목적 너머에 존재하는, 그 자체로 완결된 ‘한 생(生)’의 의미를 환기한다. 실크 천 위에 놓인 곤충, 뚜껑이 덮인 유리통 속의 물고기, 금속 수저 위의 개구리 등은 외형적으로 안정적이고 아름답게 보이지만, 그 안에 담긴 생명체의 시선은 답답하고 불안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대비를 통해 작가는 인간의 삶 또한 화려하게 치장된 외형과 달리 보이지 않는 긴장과 불안을 안고 존재한다는 점을 상기시킨다.
김영성 작가의 작품에 구현된 극사실적 재현은 단순한 묘사에 머무르지 않는다. 사진이나 QHD 모니터로도 담기 어려운 촉각적 실감을 통해 관람객은 당연하게 여겼던 생명의 권리와 존재의 가치를 다시금 사유하게 된다. 동시에 기후변화와 환경 위기의 시대 속에서 우리가 외면하고 있는 것들을 질문하는 장치로 기능하며, 작품은 침묵 속에서 강력한 문제의식을 호흡하고 동시대가 잃어버린 감수성과 책임을 되묻는다.
김영성 작가 개인전은 11월 30일까지 진행되며, 전시 및 작품 문의는 이엔갤러리 홈페이지(www.engallery.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전시] 배준현 개인전 《표류기 Adrift》 개최
 - 
                        
                            [전시] 박준수 개인전 《오늘날의 장자는 어디에 있는가?》 개최
 - 
                        
                            [지역소식] 학생들의 눈으로 본 세상…해남화원고 미술 전시 목포KR갤러리에서 개최
 - 
                        
                            [전시] 김영성 작가 개인전 《無·生·物》 개최
 - 
                        
                            [전시 캘린더] 신경철 개인전 《Light Between Air》
 - 
                        
                            [영화] 제8회 미사음악영화제, 하남에서 화려한 개막!… Ai 트렌드 접목한 '창조적 축제'로 자리매김
 - 
                        
                            [전시] 최고은 개인전 《The Snowing Room, Zitadelle》 개최
 - 
                        
                            [전시] 대구, 다시 현대미술의 중심으로…대구국제아트페어(DIAF 2025) 개막
 
최신글이 없습니다.
ⓒ 아트앤컬쳐 - 문화예술신문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