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드킨 뮤지엄: 오십 자드킨 – 아뜰리에의 삶
본문
Musée Zadkine: Ossip Zadkine - Une vie d'ateliers (2022년 11월 11일부터 2023년 4월 2일까지)
지난 여름, 자드킨 뮤지엄을 갔을 땐 상설전만 진행중이었고 다음 기획전시는 11월에 있기에 한참 남았다고 생각했는데 어느새 11월이 되어 그 기획전을 보고 왔다. 올해도 벌써 한 달밖에 남지 않았다니 시간은 참 빠르게 흐른다. 여름에는 뙤약볕을 받으며 전시를 보았는데 오늘은 촉촉한 초겨울비가 내려서인지 무척 운치 있는 관람이었다.
조각가 오십 자드킨(Ossip Zadkine)과 그의 아내인 발렌타인 프락스(Valentine Prax)는 1928년부터 1967년까지 거의 40년을 아사스 거리(rue d'Assas)의 집, 아뜰리에, 정원에서 함께 보냈다. 그리고 특히 올해는 1982년에 문을 연 자드킨 뮤지엄의 40주년을 기념하는 해라고 한다. 이 기념일을 축하하기 위해 박물관은 이 부부 작가의 작업과 작업실로 방문객을 초대하는 « 아뜰리에의 삶 » 전시를 개최한다. 거의 100점에 가까운 작품이 전시되는데 자드킨의 훌륭한 걸작 뿐만 아니라 프락스의 그림과 수많은 미공개 사진, 안드레 케르테즈 (André Kertész), 마크 보 (Marc Vaux) 같은 위대한 사진 작가의 사진도 함께 공개한다. "아뜰리에 정신"(l’esprit d’atelier) 을 불러 일으키는 새로운 시노그래피로 박물관의 모든 방을 소개한다.
40년 동안 이 집의 벽과 나무는 두 예술가의 일상과 창작을 목격했다. 그래서 이 공간은 두 사람에게 물리적, 정신적 보금자리이자 쉼터가 되어 주었고, 이 창조의 현장은 또한 두 사람의 회고록의 배경이자 오늘날 박물관 아카이브의 많은 사진의 배경으로 사용되었다. 근데 사실 자드킨의 관상(?)을 보면 정말 엄청나게 까칠할 것 같은데 40년간 한 여인과 행복하게 한 평생 살았다는 것이 놀라웠다. 역시 사람은 외모로 판단하면 안 되나 보다.^^ 어쨌든, 두 예술가들의 집이자 아뜰리에였던 공간에서 예술가의 숨결을 느껴보는 좋은 기회였다.
전시실은 자드킨의 일대기를 시간 순서대로 구성해 놓았다. 1910년 프랑스에 도착한 자드킨은 몽파르나스 지역에 터를 잡았고, 아방가르드 예술가들과의 만남을 통해 이 곳에 금세 익숙해졌다고 한다. 작품 초기에는 돌 같은 재료로 조각을 했고 점점 시멘트와 같은 새로운 재료를 실험하는 과정에서 그의 조각들은 정체성을 찾아갔다. 그러나 이 기세는 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을 때 잔인하게 중단되었고, 이 극한의 경험으로 육체적, 정신적으로 피폐해진 자드킨은 발렌타인 프락스와의 결혼을 통해 점차 회복해 나갔다. 다시 자신의 예술관에 있어 다양한 영감의 원천을 탐구하고 나무와 돌에 대한 매력을 확인했다. 결혼 후 몇 년 동안 자드킨은 인간의 모습을 표현하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며 플라스틱을 이용한 작품에 실험적으로 도전하며 한동안 큐비즘의 영향을 받아 조형, 금도금, 옻칠과 같은 새로운 기법도 시도했다.
1930년대 초반에는 프락스와 자드킨이 작업을 함께 하면서 고대 그리스와 신화의 유산에 대한 공통된 관심을 발견했고 이는 자드킨의 작업에 큰 형식적 진화를 가져다 주었고 이 결과 새로운 대형 작품이 등장했다. 그러나 다시 한번 이 창조적 자극은 2차 세계 대전으로 중단되었다. 자드킨은 미국 뉴욕으로의 망명을 어렵게 결정하고 프락스는 레 아르크(Les Arques)로 피신한다. 이 불행하고 비극적인 시기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숲, 파괴된 도시, 오르페우스, 프로메테우스 등 위대한 조각들이 탄생했다. 역시 장인은 도구를 탓하지 않듯, 시대가 안 좋아서 상황이 나빠서 이런 말들은 다 핑계인 것 같다. 어느 시대에서나 어떤 상황에서나 훌륭한 작품과 인물은 탄생하게 마련이다.
1945년 미국에서 돌아온 후 자드킨은 현재 박물관이 된 집이자 아뜰리에를 찾았고, 이곳에서 토템 오브제를 통해 창작 과정을 이해하고 구현했다. 뿐만 아니라 일상의 오브제, 사모바르, 책, 아코디언과 함께 아뜰리에를 꾸미고 영감을 받았다고 한다. 그렇게 자드킨의 생애 동안에 집-아뜰리에는 환영과 사색의 장소가 된 것이다. 1967년 자드킨이 사망한 후, 프락스는 화가로서의 자신의 경력을 쌓으면서 한편으로는 자드킨의 조각 작품을 보호하고 홍보하는 데 전념했다. 1978년에 그녀는 아사스 거리에 박물관을 설계한다는 조건으로 그녀의 모든 재산을 파리 시에 유증했다. 이런 게 참 사랑인걸까? 그렇게 1981년 4월 15일, 발렌타인 프락스는 사망했고 1년 후인 1982년 4월 19일에 자드킨 박물관이 개관했다.
지난번 방문했을 때도 대략 이 공간에 대한 포스팅은 했었지만 이렇게 두 예술가들의 공간의 역사와 배경을 자세히 알고 나니, 심리적으로 그들과 좀 더 친밀해진 느낌이 들었다. 게다가 자드킨의 작품들을 우리 집 마당에도 갖다 놓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아름다운 작품들이 많아서 참 평화롭고 행복한 일요일 오후를 만끽했다. 비가 와서 정원을 산책하지는 못했지만 비가 오니 사진은 오히려 더 잘 나온 것 같아서 이 또한 마음에 들었다.
그리고 귀가하는길에 피에르라푸 광장(Place Pierre-Lafue)에서 드레퓌스 장교를 기리는 동상을 발견했다. 프랑스 예술가 루이 미텔베르그 (Louis Mitelberg)가 1985년에 만든 알프레드 드레퓌스 (Alfred Dreyfus)에게 경의를 표하는 동상을 만들었다고 한다. "내가 살기를 바란다면, 내 명예를 돌려주시오." (Si tu veux que je vive, fais moi rendre mon honneur) 라고 드레퓌스가 아내에게 보낸 편지에서 발췌문이 적혀 있었다. 사실 이 장소는 수도 없이 지나갔었는데 그동안은 관심이 없다가 조각들을 보고 나오니 눈에 들어왔다. ㅋㅋ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