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경아 개인전 《틈 Interstice》 개최
ART 602, 2025. 10. 30. - 11. 30.
본문
서울 강남구 청담동에 새롭게 문을 연 ART 602가 개관전으로 민경아 개인전 《틈(Interstice)》을 선보인다. 전시는 10월 30일부터 11월 30일까지 진행되며, 오프닝은 10월 30일(목) 오후 1시에 열린다. 이번 전시는 동시대 한국 작가의 정체성과 시대성을 탐구하는 ART 602의 첫 시도로, ‘틈’이라는 개념을 통해 현대 미술의 본질적 질문을 던진다.

민경아 개인전 《틈 Interstice》포스터
민경아의 작업은 현실과 초현실, 동양과 서양, 사실과 허구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전개된다. 그녀가 주목하는 ‘틈’은 단순한 공백이 아니라, 서로 다른 세계가 만나는 사유의 공간이다. 작가는 전통적 이미지와 현대적 시각 언어를 교차시키며, 익숙한 것의 의미를 흔들고 새로운 해석의 여지를 만들어낸다.
이번 전시에서 특히 눈에 띄는 것은 조선시대 책거리 양식의 현대적 재구성이다. 책거리는 지식과 욕망, 변화를 담아낸 한국 고유의 정물화 형식으로, 민경아는 이를 입체적이고 해학적인 구성으로 변주했다. 화면 속 공백과 틈은 단순한 결여가 아니라, 본질에 다가가기 위해 필요한 ‘비움의 공간’을 상징한다.
또한 화면에 등장하는 호랑이와 여우, 피노키오의 코 등은 민화, 전래동화, 서구 신화의 상징을 오가며 인간의 불완전성과 욕망, 진실과 위선을 은유한다. 이질적인 오브제의 병치는 우연과 계획, 진실과 거짓의 긴장을 드러내며, 관람자로 하여금 존재와 관계의 문제를 사유하게 한다.
민경아의 작품 세계는 회화에 머물지 않고 설치와 아티스트북(artist book) 연작으로 확장된다. 종이와 판화의 물질성을 바탕으로 이미지와 텍스트, 구조와 의미를 결합한 이 시리즈는 철학자 알랭 바디우(Alain Badiou) 의 ‘공백(void)’ 개념을 시각적으로 재해석한다.
김성혜 ART 602 대표는 전시 서문에서 “《틈(Interstice)》은 동시대 한국미술이 전통과 현대, 현실과 초현실의 경계 속에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실험적 지점”이라며 “민경아의 예술 세계는 그 틈에서 관람자를 끝내 사유하게 만드는 힘을 지닌다”고 전했다.
민경아 작가는 고려대학교를 졸업한 후 미국 보스턴에서 판화를 전공하고 석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뉴잉글랜드 대학 공모전에서 The 1st Robert Brooks Memorial Scholarship Award를 수상했다. 귀국 후 홍익대학교에서 미술학 박사 학위를 받고 판화과 겸임교수로 재직했다. 2018년 스페인에서 열린 온페이퍼 국제판화전에서 대상을 수상하며 국제적 명성을 확립했다.
-
[전시] 민경아 개인전 《틈 Interstice》 개최
-
[공연] 모든 시민 누구나! 비용 없이! <케이팝 싱투게더 콘서트>
-
[공연] 서울나눔뮤직그룹, 제34회 기부음악회 ‘Side by Side’ 개최
-
[공연] 전문예술단체 한국창극원, 제17번째 창작 창극 ‘비둘기낭뎐’ 선보여
-
[공연] 보편적극단의 새로운 해석으로 만나는 입센의 고전 ‘인형의집’, 현대적으로 재창작돼 10월 초연
-
[공연] 피아니스트 황수연 리사이틀, 색채와 열정이 만나는 순간
-
[공연] 청년 음악가들의 새로운 시작… KNSO아카데미, 1년의 여정을 마치다
-
[재단/단체소식] “강동중앙도서관 개관 기념 제16회 강동북페스티벌 개최”
최신글이 없습니다.
ⓒ 아트앤컬쳐 - 문화예술신문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