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5회 서울국제대안영상예술페스티벌 ‘디지털 무빙이미지 윤리학’ 전시 개최
KT&G상상마당 홍대 갤러리 4~5F, 2025. 8.7. - 13.
본문
국내 유일의 대안영상예술축제 네마프2025, 8월 7일~13일 KT&G 상상마당 홍대서 열려
올해로 25회를 맞는 국내 유일의 탈장르 대안영상예술축제, 서울국제대안영상예술페스티벌(NeMAF, www.nemaf.net)이 오는 8월 7일부터 13일까지 KT&G 상상마당 홍대 갤러리에서 전시를 개최한다. 올해의 주제는 ‘디지털 무빙이미지 윤리학’.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영상 예술의 본질과 윤리적 책임을 되묻는 전시로 기획됐다.
이번 전시는 총 21점의 영상예술, 실험다큐, VR 설치, 비디오아트 작품을 통해 ‘이미지 생성과 윤리’에 대한 깊은 성찰을 유도하며, 영화·예술·기술의 경계를 허무는 네마프 특유의 실험성과 철학을 관객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제25회 서울국제대안영상예술페스티벌 ‘디지털 무빙이미지 윤리학’ 전시 개최
전시는 세 개의 섹션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섹션인 〈디지털 무빙의 흑점〉은 네마프가 그간 선보인 3,500여 편의 작품 중 12점을 엄선, ‘윤리적 도구로서의 디지털 영상예술’을 재조명한다. ‘흑점’이라는 테마 아래, 태양 활동처럼 잠재된 영상의 힘과 그 그림자를 성찰하게끔 구성되었다. 참여 작가로는 김두진, 이미래, 유지영, 서울익스프레스, 정범연 등 국내외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작가들이 이름을 올렸다.
두 번째는 올해 신설된 〈커미션–디지털 무빙이미지 윤리학〉 섹션. 네마프의 커미셔닝 프로그램인 ALT 파운데이션을 통해 작가들과의 협업을 이어간다. 이미래, 김재익, 권동현X권세정 작가가 참여하며, 기술과 사회, 윤리를 교차하는 깊이 있는 작업들을 선보인다.
세 번째는 공모를 통해 선정된 ‘뉴미디어 부문’ 6점의 신작 전시다. 디아스포라, 언어, 신체, 사변적 서사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 이 작품들은 영상, 설치, 인터랙션을 넘나들며 관객에게 새로운 감각을 제안한다.
대표작으로는 우박스튜디오의 〈No is canceling〉, 우주언의 〈퓨처 플랜〉, 이지 리의 〈Go Tell It to the Mountain〉, 정아람의 〈관심 연습: 공동의 시선 II〉, 주슬아의 〈GUMMY〉, 최희정의 〈오랜만에 내 그림자를 보았다〉 등이 있다.
네마프2025는 단순한 시청각적 체험을 넘어, 관객이 ‘질문을 듣고, 응시하고, 사유’할 수 있도록 시간을 들인 감상의 장을 마련한다. 축제 25주년을 기념하는 이번 전시는 디지털 시대 영상예술의 윤리를 사유하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전시] 무스타파 훌루시, 앤디 하퍼의 2인전 《Light and Shadow in Imagined Worlds》 개최
-
[전시] 조기현의 첫 개인전 《노동 이후 노동 POST-WORK》 개최
-
[전시] 공근혜갤러리, 개관 20주년 특별전 《시선의 확장: Broadening of Visions》 개최
-
[전시] 고슈가ㆍ김병관ㆍ이상선ㆍ전병삼ㆍ조병왕ㆍ채성필 6인전 《Focus Reminder》 개최
-
[전시] 서민정 개인전 《The Human Condition: 인간의 조건》 개최
-
[전시] 제25회 서울국제대안영상예술페스티벌 ‘디지털 무빙이미지 윤리학’ 전시 개최
-
[전시] 소금같은, 예술 입주작가 단체전 《침전된 물질》 개최
-
[전시] 김기린 개인전 《안과 밖 그리고 경계 위의 감각》 개최
최신글이 없습니다.
ⓒ 아트앤컬쳐 - 문화예술신문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