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추상회화의 층위와 진동, 기획전 《겹疊_응축과 파장(Layers of Condensation and Resonance)》…
아트프로젝트 씨오, 2025. 10. 2. - 10. 25.
본문
아트프로젝트 씨오(Art Project CO)가 오는 10월 2일부터 10월 25일까지 기획전 《겹疊_응축과 파장(Layers of Condensation and Resonance)》의 2부 전시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한국 추상회화가 쌓아온 정신적·조형적 기반을 조명하며, 서로 다른 세대와 태도의 회화적 실천이 한 공간에서 공명하는 장을 마련한다.
윤종주, cherish the time-line 22004009, acrylic, ink, medium on canvas, 46x32cm(x4), 2022. © 작가, 아트프로젝트 씨오
《겹疊_응축과 파장(Layers of Condensation and Resonance)》 전시전경 © 작가, 아트프로젝트 씨오
이번 전시는 두 개의 파트로 구성된다. 1부(8월 28일–9월 20일)는 박서보, 하종현, 최명영, 김근태, 김춘수, 김택상, 이진우, 박기원, 장승택 등 한국 현대 추상의 기반을 다진 작가들의 작업을 통해 전통적 기반과 물질적 실험, 사유의 흔적을 살펴보았다. 이어지는 2부(10월 2일–10월 25일)에서는 김미경, 김이수, 신수혁, 윤상렬, 윤종주, 편대식이 감각의 해체와 재구성을 통해 새로운 회화적 가능성을 제시한다.
평론에 따르면, 이번 전시는 “회화는 완성된 형상이 아니라, 지속되는 파장”이라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기획됐다. ‘겹’은 시간의 레이어, ‘응축’은 내면의 침전, ‘파장’은 세계로 향한 감응의 진동을 의미한다. 즉, 회화가 어떻게 시간 속에서 축적되고, 응축된 사유가 조형으로 드러나며, 관객의 감각에 도달하는지를 탐색한다는 것이다.
세대나 위계보다는 각 작가가 지닌 고유한 회화적 진동에 주목하는 것도 특징이다. 단색화의 전통에서부터 물성 탐구와 감각의 해체까지, 겹겹이 쌓인 조형의 파장은 관객에게 또 다른 울림을 선사할 전망이다.

-
[전시] 류수현 개인전 《그물 위의 무동》 개최
-
[전시] 한국 추상회화의 층위와 진동, 기획전 《겹疊_응축과 파장(Layers of Condensation and Resonance)》의 2부 개최
-
[문화일반] 영국 창의성,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에 함께하다
-
[전시] 윤병락 개인전 《사계》 개최
-
[전시] 예화랑, T3 Photo Asia 2025 참가
-
[전시] 김호준 개인전 《The Poetry within the danger》 개최
-
[전시] 남재현 개인전 《The Living Nocturne》 개최
-
[전시] 국제갤러리, '프리즈 런던(Frieze London) 2025' 참가
최신글이 없습니다.
ⓒ 아트앤컬쳐 - 문화예술신문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