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주 개인전 《공의 공명3》 > 전시평론ㆍ작가노트

본문 바로가기

전시평론ㆍ작가노트


전시평론ㆍ작가노트 



이민주 개인전 《공의 공명3》

본문

소외의 공간에서 길어 올리는 신화의 공명 



서길헌(미술비평, 조형예술학박사)



화가 이민주에게 캔버스는 소외의 공간이자 끊임없이 불어나는 우주의 공간이다. 그동안 대개 피마준과 같은 붓질의 선묘로 그려진 그녀의 화면은 모든 사물이 하나의 빛으로부터 우러나오는 듯한 공명의 파장에 둘러싸여 거기에 등장하는 어딘가 초월적인 사물들마저 마치 한없이 투명한 공허를 보는 듯한 느낌을 전해주곤 하였다. ​​그러한 공간의 느낌은 현대인의 소외감을 일종의 정신적인 떨림으로 채워 신화의 공명으로 이끌어가는 긴장감과도 같다. 주로 동심원과 소용돌이 모양의 선을 통해 그림은 허공 속에서 일어나는 파동과 같은 울림을 준다. 그것은 주로 우물물에 비친 자신의 그림자와 같은 태초의 생명이 솟아나는 기억의 심연을 바라보는 말의 이미지를 통해 화면 가득 확장된다.


이렇듯 그녀의 작품에서 명상하는 듯한 말과 함께 등장하는 동심원은 공명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공명의 파장을 일으키는 동심원은 그림의 특이점으로 기능하여 이미지의 유동적인 변이를 촉발하는 자장처럼 작동한다. 들뢰즈는 특이점을 단순한 기하학적인 점으로 생각하지 않고, 체계 전체의 국면을 바꾸는 비선형적인 점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동심원은 그림에서 움직임과 변형의 초점이자 강렬한 흐름의 원천으로 작용하여 캔버스 공간에 율동과 역동성을 부여한다. 동심원의 중심은 겉보기에 고요하면서도 본질적인 움직임을 전달하는 ‘강렬한 차이’의 힘을 일으킨다. 따라서 이민주의 그림에서 이러한 동심원은 세계의 근원적인 힘과 욕망을 드러내는 반복되는 모티브로 작용한다. 


ffbb8128d901f8610c221171f257e2ac_1737022271_5442.jpg
이민주, 공명-동물과 무생물의 공명2022. Mixed media on canvas, 91x116.8© 작가,  갤러리 내일

ffbb8128d901f8610c221171f257e2ac_1737022275_6543.jpg
이민주, Circular Movement of Everything, 2024. Mixed media on canvas, 60.5×60.5© 작가,  갤러리 내일

ffbb8128d901f8610c221171f257e2ac_1737022281_5161.jpg
이민주, 뿌리깊어라, 2024. mixed media on Canvas, 91X116.8cm© 작가,  갤러리 내일

 
ffbb8128d901f8610c221171f257e2ac_1737022292_6893.jpg
이민주, 움직이는 산수, 2024, 한지 위 먹, 120x1000cm© 작가,  갤러리 내일



그녀의 그림에 표현된 동물의 이미지는 말이나 코끼리, 더러는 새 또는 물고기로도 등장하지만, 중요한 것은 동물 외형보다 그 형용을 이루는 주름선이 만들어가는 파장의 시각적인 강도이다. 이러한 선으로 이루어진 대상들은 침묵의 시선을 통해 텅 빈듯한 화면에서 고요한 파동을 생성하여 소외로 굳어진 현대인의 감각을 깨어나게 하여 미지의 세계로 향하는 시선의 문을 활짝 열어젖힌다. 그곳은 모든 힘이 수렴하는 근원으로서의 수많은 소실점이자 파장의 심연이 거주하는 사방으로 열린 우주이다. 몸짓의 직관적인 열정으로부터 나온 촘촘한 등고선과 같은 선은 인간의 얼굴에 새겨진 시간의 주름과 움직이는 신체의 리듬을 동시에 환기하며 실처럼 서리서리 꼬여있는 유전물질과 같은 선을 끝없이 그림 밖의 공간으로까지 이어지도록 한다. 이로써 이민주의 그림을 그리는 행위는 인간의 시간과 공간을 화면 너머 우주의 근원적인 시공으로 되돌리는 작업이 된다.

 

다시 말하면, 그녀의 그림에서 동심원은 단순히 공간을 채우는 것만이 아니라 다양한 강도로 그것을 변형시키고, 의미의 영역을 무한으로 확장하는 감각적 진동을 생성한다. 이러한 유동성은 이미지의 탈영토화를 유발하여 화면의 리듬에 중첩적인 폭과 깊이를 부여한다. 이렇게 화면의 이미지들은 단순한 장식적 모티브가 아니라 그 자체로서의 품과 깊이를 가지고 공간을 스스로 팽팽하게 긴장시키는 장력과 같이 기능한다. 이를 통해 화면은 모종의 시각적 울타리를 넘어서 의미를 유동적으로 팽창시키는 블랙홀과 같은 심연으로 존재한다. 그럼으로써 그림의 화면은 끊임없이 진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가운데, 생동감 넘치는 선으로 표현된 공간의 균형이 언제라도 전복될 수 있을 듯한 무중력과 같은 에너지의 장이 된다. 


이러한 파장의 공간은 현대인이 가진 무의식적 소외의 공간을 생생한 의식의 거주 공간으로 바꾸어, 새로운 의미를 발산하는 탈영토화의 공간으로 변모시킨다. 이와 같은 창조적 연금술 속에서 인간의 시선은 소외를 벗어나 신화의 공간으로 들어서고, 화가의 붓질은 공명의 촉매로서 가능성의 땅을 향해 달리는 고삐 풀린 말의 갈기처럼 마구마구 탈주하는 살아있는 선을 낳는다. 그럼으로써 그녀의 작품은 단순히 표현하는 것을 넘어서, 보이지 않는 것을 드러내어 활성화하고 진동하게 한다. 이러한 드러냄은 신화를 위한 심층적인 시선의 초대이다. 


심층의 시선은 그녀의 작업에서 그림을 구성하는 표면의 공명을 다각적으로 일으키는 다층적 소실점과 같다. 이 공명의 근원이 되는 주름과 같은 선들은 동물이나 사람, 또는 암석이나 나무들의 형상을 빚거나 허무는 변이의 리듬을 만들어냄으로써 공간을 다층적으로 확산시킨다. 공간의 확산으로 화면은 존재의 공허함이 우주의 충만함으로 가득한 자리가 된다. 이민주의 작품을 구성하는 이 모든 붓질의 토대는 언제나 우주의 이치를 따름으로써 가능한 일이기도 하다. 이렇게 그녀의 붓이 그리는 선들은 단순한 캔버스 위에 한계 지워진 공간을 초월하여, 새로운 우주를 향해 불어나는 신화의 공명이 된다.


평론제공  갤러리내일



ⓒ 아트앤컬쳐 - 문화예술신문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1 건

열람중이민주 개인전 《공의 공명3》

소외의 공간에서 길어 올리는 신화의 공명 서길헌(미술비평, 조형예술학박사)화가 이민주에게 캔버스는 소외의 공간이자 끊임없이 불어나는 우주의 공간이다. 그동안 대개 피마준과 같은 붓질의 선묘로 그려진 그녀의 화면은 모든 사물이 하나의 빛으로부터 우러나오는 듯한 …

아트앤컬처

김현실 개인전 《그대의 세계》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바라보는 관점, 그 순수성에 대해 묻다 홍경한(미술평론가) 작가 김현실의 작품들은 차분하면서도 강렬한색과 거친 선, 단순한 형태와 여타 상징적인 요소로 특징지어진다. 원시주의와 신표현주의적 여운 탓인지 원초성이 강하고, …

아트앤컬처

우지윤 개인전 《딸기의 장소》

어깨를 맞대고 바라보는 곳글 나가람이전 개인전에서 선보였던 그림들은 제 3자를 어떤 기억과 풍경으로 이끄는 듯 했다. 이번 전시에서 선 보이는 그림들은 보다 친밀하고, 사적이며 가까운 거리감으로 다가온다. 첫 인상은 이러하다: 사적이면 서 뒤로 물러나 있는, 조용하지만…

아트앤컬처

이정원 개인전 《푸른 산의 환영展》

몸으로 만나는 환영의 공간-이정원의 山中摸索

몸으로 만나는 환영의 공간-이정원의 山中摸索서길헌(미술비평, 조형예술학박사)산에서 길을 찾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산에는 이미 나 있는 길 외에도 수많은 길이 잠재적으로 열려있어서 혼돈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산에 올라가서 만나는 다양한 감각을 한정된 캔버스에 옮기는 것…

아트앤컬처

김혜나, 사냥꾼이라는 이름으로

김혜나, 사냥꾼이라는 이름으로글 김솔지(더블데크웍스)물에 가라앉은 나비 날개 가루김혜나의 그림은 일렁이는 순간을 담아낸다. 그림은 두껍지 않다. 여러 층을 쌓아 올린 마티에르는 얕은 두께에도 두터운 층을 지니고 있다. 층 사이로 비치는 색상은 다채롭다. 세상이 수만 가…

아트앤컬처

이경미 ‘Last night and Neurath’s boat(지난 밤과 노이랏의 배)’ 展

복제의 복제, 의미의 이동

‘New Vertical Painting – Dürer’s apocalypse’복제의 복제, 의미의 이동김석모 (철학박사, 미술사학자)작가 이경미는 관찰한다. 대상이나 사태 혹은 현상을 관찰한다. 그리고 분석한다. 그에게 분석은 의식의 여과 과정 이다. 주관적 경험에…

아트앤컬처

영원히 끝나지 않을 이야기, 그리고 <사:람>

따뜻한 시선으로 ‘사람’에 대해 끊임없이 탐구하는 김소형

영원히 끝나지 않을 이야기, 그리고 <사:람>  이진명(미술비평ㆍ철학박사) 시인은 두 가지 종류로 나뉜다. 하나는 시를 그저 쓰기에 시인이라 불리는 사람이다. 또 하나는 시를 쓰지 않고는 도저히 이 세상을 살아갈 수가 없기에 시인으로 인정 받는 …

아트앤컬처

박현주, 윤종주, 이환권 3인전 《美妙: nuance 미묘》

미묘, 지각과 인식이 미끄러지는 틈새

미묘, 지각과 인식이 미끄러지는 틈새 황인(미술평론가)화가 박현주, 윤종주 그리고 조각가 이환권의 ‘미묘’ 삼인전이 열린다. 인간이 사물을 판단하고 느끼는 데에는 인식의 영역과 지각의 영역이 있다. 이 둘은 연결되면서도 독립적이다, 일상적인 삶에서는 …

아트앤컬처

일상성(日常性), 존재와 부재의 흔적(痕迹)을 수놓다

김수자 개인전, 사유(思惟)로서의 존재의미

일상성(日常性), 존재와 부재의 흔적(痕迹)을 수놓다 이 태 호(미술평론가)사유(思惟)로서의 존재의미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Cogito, ergo sum)”라고 하는 유명한 코기토(Cogito) 명제로 널리 알려진 프랑스의 유명한 …

아트앤컬처

박용일 《He-story 봄》

너무 많은 삶의 사연, 그릴 수 없어 보따리로 묶다 글 홍경한(미술평론가) ‘보따리’(褓따리)는 보자기에 물건을 싸서 꾸린 뭉치다. 보따리는 한국의 문화와 역사, 생활상에 자주 등장해 왔다. 그것은 본래 물건을 운반하거나 보관하는 데 사용되었…

아트앤컬처

임현주의 낙화, 그 무지갯빛 감성 치유

임현주의 낙화, 그 무지갯빛 감성 치유변종필(미술평론가, 제주현대미술관장) 인간은 아름다운 경험을 하는 과정에서 주제와 형식의 조화를 추구하려는 유희충동을 느낀다. 이를 통해 인간은 더 자유롭고 완전한 존재로 성장한다. 유희충동은 때때로 인간의 감성과 지적 발…

아트앤컬처

Cloud Wave: Nick Schleicher 닉 슐라이커

다양한 형태의 셰이프트 캔버스(Shaped Canvas)로 구축한 색면추상회화

글│강주연 Gallery JJ Director  “현존과 부재, 은폐와 폭로의 율동적인 교체만이 시선을 깨어 있게 한다.” –한병철, 『아름다움의 구원』 갤러리JJ는 2024년을 맞이하여 자유로운 형태의 색면추상 회화로 삶의 다양…

아트앤컬처

이상향과 만난 AI望산수도

김최은영(2023광주미디어아트 페스티벌 전시감독) 일상에서 기술을 분리시킬 수 있는가 그리고 급격하게 변화하는 디지털 매체 시대에 테크놀로지를 또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모든 예술은 명명되기 이전 존재한다. 오늘의 AI아트 역시 그렇다. 예술가들은 청…

아트앤컬처

이윤서 개인전 《그림 그린 그림 Painting painted Painting》

그림 그린 그림,  Painting painted Painting 02, 2023, Oil on canvas, 162.2 × 130cm (이미지=갤러리조선)그림 그린 그림 05 Painting painted Painting 05, 2023, Oil o…

아트앤컬처

아담 핸들러: 소녀와 유령 (Adam Handler: Girl & the Ghost)

유한한 삶의 허무를 극복하고 희로애락을 위트있게 표현

"어린아이는 천진난만이요, 망각이며, 새로운 시작, 놀이, 스스로의 힘으로 굴러가는 수레바퀴이고, 최초의 운동이자 신성한 긍정이다."  -프리드리히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갤러리JJ는 천진난만한 고스트와 소녀 이미지를 통한 소통의 언…

아트앤컬처
게시판 전체검색
다크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