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부수 작가
본문
조부수 Orchestration 캔버스에 유채 140X100cm 1990
조부수 작가는 주로 90년대 이후 굵직한 화제를 뿌리며 국내외에서 독자적인 활동을 한 작가였다. 김환기를 미국 시장에 부각시켰던 딘텐파스갤러리, 프랑스 니스의 갤러리 콩테. 벨기에 브뤼셀의 드와트갤러리 등 미국과 유럽에서도 개인전을 비롯한 전시를 열며 해외에서 활약했다. 국내에서는 현대화랑, 선화랑, 미화랑 등에서 전시를 열며 90년대의 대표적인 작가로 활동했다.
1991년 마이애미 아트페어 참가가 포담대학, Museum Necca에서 열린 개인전으로 이어지고 이를 계기로 딘텐파스 갤러리에서의 개인전이 호평을 받고 작품이 판매되는 등 당시에는 전적으로 한국을 기반으로 한 작가로서는 드문 성과들을 거두었다.
생전의 조부수 작가는 “나 자신에 충실하는 것을 최선으로 여기고 있다. 나 자신의 감정에 솔직해져야만 서구적인 정서와 다른 독자적인 표현이 가능해진다. ‘한국성’에 대해 깊이 생각한다”고 말하곤 했다.
그가 90년대 즐겨 그린 작품의 주제는 ‘오케스트레이션(Orchestration)’. 노랑, 빨강, 녹색 등 밝고 화려하고 강렬한 색감의 추상적인 이미지들이 정교한 조화를 이루며 화면을 채운다. 그는 미국 뉴욕과 프랑스 니스 등지에서 개인전을 여는 등 미국과 유럽에서 작품성을 인정받으며 활발히 활동했다. 이번 전시는 조부수 작가가 가장 활발한 활동을 펼쳤던 1990년대 작품부터 10여년의 침묵을 거친 성과인 2000년대의 작품까지 작가 조부수와 그의 작품세계를 관람객들에게 소개한다.
평론가 임두빈은 그의 작품을 “생동하는 화려한 색채 감각, 풍성한 생명, 이미지의 역동적 울림”이라고 평가했고, 김복기는 “1990년대 조부수 작품의 요체는 구축과 해체 혹은 생성과 소멸의 이중주로 요약할 수 있다. 말하자면 ‘묶는’ 행위와 ‘푸는’ 행위의 균형과 조화 혹은 그것의 순환 관계가 그의 작품을 지배하고 있다. 기하학적 구성이 화면의 일차적인 바탕이 되고, 그 위에 물감을 흘리고 뿌리고 튕기면서 새로운 기호적 형상을 만들어 가는 것이 그의 작품 제작의 기본 방식이다”고 그의 작품세계를 설명했다.
작가는 한때 자신의 분신과도 같은 작품 1,000여점을 소각했을 정도로 자기쇄신에 적극적이기도 했다. 정작 작가 본인은 이 사실이 기사화 된 것을 그리 달가와하지 않았으나 그 덕분에 우리는 그가 ‘한 세계를 만들고 새로움을 위한 다시 파괴’하는 그의 변증법적 창작세계를 엿볼 수 있다.
뉴욕 화단에 큰 영향력을 갖고 있던 미술평론가 겸 작가였던 게리트 헨리(Geritt Henry, 1950-2003)는 조부수의 작품세계에 대해 “세계 미술계의 풍조인 포스트 모더니즘 따위(개념미술, 정치미술, 젠더미술 등)에 상관없는 ‘고전적 그림그리기’에 바탕을 두고 신표현주의(neo-Expressionism)의 새로운 세계에 용감하게 뛰어들었다”고 격찬하였다.
그랬던 그는 10여 년의 잠적 후 열린 2011년에 열린 개인전을 시작으로 다시 활동을 재개하는가 싶더니 돌연 다시 잠적했었다. 그리고 2017년 갑작스러운 그의 부음과 함께 놀라운 소식이 전해졌다. 그가 기록에 이름이 남아있는 순교자만 337명인 공주 ‘황새바위 순교성지’의 부활경당에 3,500여 점의 벽화를 약 4년에 걸쳐 도자기로 구워서 한 점 한 점 붙여 완성한 후 모든 기력을 소진하고 선종(별세)하였다는 것이다.
동숭갤러리 이행로 관장은 “그의 작품들은 대부분 세련된 수작들로서 하나같이 많은 미술평론가들이 공통으로 지적한 바와 같이 생의 에너지와 삶의 이유를 미술세계에서의 자기표현을 위해 자기 파괴와 자기 생성을 거듭하면서 일궈낸 보기 드문 성과이다.”라면서 “조부수 작가의 안타까운 삶과 예술의 변증법이 빚은 과거와 현재의 퍼즐 맞추기에 우리 모두 나서야 할 때가 아닐까” 한다면서 전시 기획의 변을 대신했다.
ⓒ 아트앤컬쳐 - 문화예술신문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