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 제주에서 창작뮤지컬을’ 다양한 시선의 제주이야기 소재 창작 실감뮤지컬 3편 동시 개막
본문
제주의 이야기를 소재로 한 창작 뮤지컬을 만나기 힘든 제주에서 ‘제주 이야기 창작 뮤지컬’ 2편과 ‘어부와 바다 이야기’ 연극 1편이 한 극장에서 연이어 상설공연을 시작한다.
애기해녀학교’ 세팅 장면
화이브행크가 2022년과 2023년 제주 지역특화콘텐츠지원작에 선정됐던 미디어아트 융복합 실감뮤지컬을 2년 동안의 업그레이드 작업을 통해 드디어 7월 25일 ‘제주이야기 힐링극장’(옛 제주관광대 컨벤션홀) 무대에 올린다.
첫 번째 작품 ‘뮤지컬 - 그림책 속 제주 이야기’는 우도를 배경으로 해녀 전사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3총사의 이야기를 담은 ‘애기해녀학교’, 제주 돌담이 되어버린 흑룡의 전설을 담은 ‘흑룡만리’, 함덕에서 유년을 보낸 엄마가 들려주는 바다놀이 이야기 ‘청청 거러지라 둠비둠비 거러지라’ 등 그림책에서 뽑아낸 총 3편의 이야기를 옴니버스식으로 구성했다. 재미, 감동과 함께 제주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2022년에 창작, 초연한 이 작품은 제주와 서울 공연에서 인터파크티켓 관객 평점 10점과 어린이/가족부문 전국 4위, 예스24 전국 가족뮤지컬 랭킹 5위까지 오른 작품이다. 매주 토·일요일 오전 11시, 오후 2시에 만날 수 있다.
두 번째 작품 ‘실감 뮤지컬 - 해녀와 영등’은 2023년에 창작 초연 후 2년 만에 리메이크하는 작품이다. 제주에 여행 온 중학생 소녀와 아빠가 바닷가에서 만난 해녀 할망, 영등굿 심방과 함께 마을의 영등굿에 참여하며 겪게 되는 힐링 가득한 이야기다. 영등굿에 모인 도채비들과 흥겨운 한 때를 보내며 해녀들의 삶과 사랑, 소녀와 아빠의 그리움과 사랑이 어우러진다. 8월 5일~7일 19시 30분 프리뷰 공연으로 만난 후 9월 19일부터 매주 금·토요일 19:30에 공연된다.
마지막 ‘실감 연극 - 노인과 바다’는 헤밍웨이의 원작을 각색, 원작의 명 문장과 감동은 유지하면서 소년의 회상을 통해 노인의 용기와 희망의 메시지를 더 크게 전하는 방법으로 감동과 재미 두 마리의 토끼를 잡는다. 미디어아트 영상이 어우러지면서 노인이 보았을 바다의 모습을 무대에서 감상할 수 있다. 또, 시즌2 9월 공연부터는 제주어를 쓰는 노인을 만나는 것도 색다른 재미가 될 것이다. 7월 18일부터 8월 8일까지 매주 금요일 19:30, 토요일 18:00에 관람할 수 있다.
‘제주이야기 힐링극장’ 회원으로 가입하면 1만2000원의 할인된 가격으로 티켓 구매가 가능하다. 단체는 전 작품 모두 사전예약을 통해 평일 공연 편성이 가능하다.
‘제주이야기 힐링극장’ 운영사이자 이번 공연을 제작한 화이브행크의 김진희 대표는 “제주를 실감공연 소재의 보고라고 생각한다”며 “제주의 아름다움, 행복, 감성을 전달하는 작품을 지속해서 개발하고, 제주이야기를 소재로 한 다양한 공연팀과 협력하는 극장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티켓은 NOL 인터파크를 통해 예매 가능하며, ‘제주이야기 힐링극장’ 홈페이지(jejutheater.com)에서 자세한 공연정보를 볼 수 있다.

-
[문화일반] 현존 최고의 소해금 테크니션 ‘량성희’ 국내 첫 녹음 디지털 앨범 ‘꽃이 피다’ 발매
-
[문화일반]
-
[공연] ‘제2회 대한민국가족연극제 The집’ 개최
-
[공연] ‘프랑켄슈타인: 더 뮤지컬 라이브’ 9월 스크린에서 되살아난다
-
[공연] 서울돈화문국악당-상주단체 광대생각, 공공프로그램 ‘안녕? 물방울!’ 성료
-
[공연] 김영랑의 시가 울리는 무대, 입체 낭독극 <영랑> 공연
-
[공연] 피아니스트 김희정, 독주회 ‘보이지 않는 풍경’ 개최…상상력 자극하는 무대 선보인다
-
[공연] 예술로 나누고 기부로 잇는 축제, ‘2025 아트 포레스트 페스티벌’ 9월 개막
최신글이 없습니다.
ⓒ 아트앤컬쳐 - 문화예술신문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