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주(Michael Joo) 개인전 《마음의 기술과 저변의 속삭임》 개최 > 이주의 전시

본문 바로가기

이주의 전시

마이클 주(Michael Joo) 개인전 《마음의 기술과 저변의 속삭임》 개최

본문

국제갤러리 K2에서 오는 8월 30일부터 11월 3일까지 마이클 주(Michael Joo)의 개인전 《마음의 기술과 저변의 속삭임》이 개최된다. 작가는 이번 전시에서 예술과 과학의 교차점에서 일상적인 지각 기저에서 이루어지는 교환과 연결, 그리고 언어화하기 어려운 영향 관계에 주목한다.


f090a16dd2910dbe26781136b96a0f5e_1724147518_2263.jpg

마이클 주, 〈Barcelona, 2017. Silvered epoxy on canvas, 160.8 x 118.3 cm. © 작가, 국제갤러리


f090a16dd2910dbe26781136b96a0f5e_1724147518_4795.jpg

마이클 주, 〈Cosms (Catalunya 1)〉, 2016-2024. Silvered alabaster and dichroic glass

Silvered alabaster: 18.5 x 18.5 x 14 cm. Dichoric glass: 30 x 30 x 1.6 cm. © 작가, 국제갤러리


f090a16dd2910dbe26781136b96a0f5e_1724147518_0482.jpg


마이클 주, 〈EP Print (v. 2)〉, 2024. Acrylic piezograph on widetone paper, 145 x 40 cm. © 작가, 국제갤러리


전시장에서 처음 마주하는 아크릴 패널 신작 시리즈는 공간을 분할하기도, 연결시키기도 하는 재료 및 양식에 대한 작가의 오랜 탐구의 결과물이다. 〈Revider〉라는 제목으로 엮이는 본 연작은 투명한 아크릴과 더불어 빛의 각도에 따라 다양한 스펙트럼의 색을 띠는 다이크로익 유리(이색성 유리)를 주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작품은 그 너머를 투영하는 투명성을 통해 공간 및 사물을 바라보는 시점을 의식하게 하거나, 변화무쌍한 색상의 표면을 통해서 정적인 사물로서의 작품에서 벗어나 감상자로 하여금 자신의 위치와 시선을 적극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유도한다. 작가는 패널을 전시장에 창문이나 벽처럼 세워 두거나 서로 잘라내듯 교차시키면서 (반)투명한 건축적 재료가 공간과 사물을 바라보는 시선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한다.

한편 작가는 패널에 사물을 삽입하고 예상치 않은 위치에 오브제를 부착하거나 올려둠으로써 오브제와 이를 위한 건축적 지지체 사이의 상하관계를 갱신한다. 〈Revider for Ganoderms (Yeongjiboseot 1-3)〉(2024)에서는 탄화 버섯을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일명 빈초탄이라 불리는 흰 숯을 전통적인 방식으로 제작한 것이다. 이렇듯 오늘의 기술과 수백 년 전통의 기술을 결합한 결과물이자 땅 속에서 균사체 네트워크를 형성해 식물 뿌리와 공생관계를 맺는 균류는 보이지 않는 저변의 연결망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Revider with Carbon Doppelganger〉(2024)에서는 패널이 커다란 바위 조각을 관통한다. 탄소 가루, 흑연, 숯, 우레탄이 섞인 덩어리를 절삭해 만든 이 바위는 2018년 ‘리얼 DMZ 프로젝트(REAL DMZ PROJECT)’ 당시 비무장지대 인근 지역에 거주하는 어린이들이 한탄강 주변에서 수집한 작은 화산석 샘플들의 데이터를 스캔한 것에서 그 형태를 따왔다. 이러한 과정으로 만들어진 바위 조각은 DMZ의 장소적 맥락을 품은 하나의 파편이자 기술적 매개에 의한 인공물이며, 연소 후 구성요소가 변이된 오브제이자 숯이 그러하듯 감상자들과 호흡을 교류하는 물질이라는 복수의 정체성을 갖는다.

전시장 안쪽, 콘크리트 기단에 유리 패널이 끼워진 형태의 작업 〈Untitled (after LBB)〉(2024)는 이탈리아 태생의 브라질 건축가 리나 보 바르디(Lina Bo Bardi, 1914-1992)의 ‘유리 이젤’에 대한 오마주이다. 리나 보 바르디는 1968년 상파울루 미술관의 개관 전시를 위해 유리 이젤을 고안했는데, 이는 콘크리트 큐브에 유리판을 끼우고 그 위에 작품을 부착하는 독특한 디스플레이 방식이었다. 병렬로 늘어선 이젤은 전시장을 흡사 작품의 숲처럼 보이게 하고, 이로써 관람자들은 벽에 걸린 작품이 발산하는 역사적 위엄과 교훈적인 아우라를 전달받는 대신 눈앞에 서 있는 작품과 더 가깝고 직접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게 되었다. 작가는 유리 이젤이 안과 밖의 경계를 구분하는 이동식 건축이며 질적으로 다른 공간의 열림을 알리는 경계면이라는 점에 특히 흥미를 느끼고 이 구조물의 조형미와 개념적 함축을 재조명한다. 


본 전시에서 이 유리 이젤에 해당하는 작품은 작가의 또 다른 연작인 실버 페인팅을 위한 플랫폼으로서도 기능하게 된다. 〈Barcelona〉(2017)와 〈The Vagueness Argument〉(2017)는 작가가 지난 19년간 질산은의 시적 가능성을 탐구하며 만들어온 실버 에폭시 페인팅 연작의 일환으로, 질산은이 투사되는 빛의 각도에 따라 다르게 반응하고 주변의 상을 증폭시키는 점에 착안해 고안한 일종의 대지 판화기법이다. 작가는 독도나 바르셀로나, 뉴욕의 폐공장 등 정치적, 사회적, 혹은 경제적 이유로 소외되거나 논쟁의 대상이 되는 땅 등의 경계 공간을 직접 찾아간다. 그리고 그 장소들의 지면에 에폭시를 바른 캔버스를 고정시킨 후 72시간 동안 노출시켜 그 땅을 ‘본뜨고,’ 그 위에 질산은을 입혀 해당 지면의 텍스쳐와 형태를 극대화해 작품에 담아낸다.

전시장 곳곳에 배치된 여덟 개의 〈Cosms (Catalunya 1-8)〉(2016-2024)는 지질과 광물, 장소성과 장소 이동에 대한 탐구로서 이번 전시 전체에 흐르는 고고학적인 맥락을 강조한다. 이 작품에는 스페인 카탈루냐에 있는 퇴적암층에서 추출한 앨래배스터(alabaster) 광석이 사용되었다. 퇴적암층은 그것이 매장된 땅의 모양을 반영하고, 암석층의 긴 광석을 잘라내어 만들어진 각 부분은 그 지역의 땅 전체를 품고 있는 작은 풍경 조각이다. 질산은과 다이크로익 유리의 반사면을 입은 작품은 ‘그때 그곳’을 ‘지금 이곳’의 생동하는 시공간과 연결시킨다.

스페인 카탈루냐의 퇴적암층에서 추출한 앨래배스터 광석을 활용한 작품들은 지질학적 시간과 개인적 기억을 연결하며 고고학적인 맥락을 강조한다. 또한, 작가의 어머니가 식물 생리학자였다는 사실을 반영하여 유전자 정보를 시각화한 작품은 보이지 않는 부드러운 영향력에 대한 헌정이기도 하다.


전시장 한켠에 외로이 서 있는 〈Mediator (redux)〉는 요셉 보이스의 퍼포먼스에서 영감을 얻은 작품으로, 작가의 가족사와 개인적인 경험을 담고 있다. 이 작품은 전시 전체를 하나의 조용한 속삭임으로 연결하며,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소리 없는 연결'과 '비가시적 관계'에 대한 메시지를 강조한다.


마이클 주의 개인전 《마음의 기술과 저변의 속삭임》은 예술과 과학, 개인과 사회,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깊이 있는 탐구를 보여준다. 작가는 다양한 매체와 기법을 활용하여 우리가 쉽게 간과하는 일상적인 연결과 소통의 방식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전체 767 건 - 5 페이지
게시판 전체검색
다크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