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도소리의 깊은 울림… 여성 예술가 3인이 펼치는 ‘삼부작 三部作’ 첫 무대
여성 국악인 3인이 엮어낸 절제된 미학과 깊이 있는 구성
본문
삼부작은 오랜 시간 깊이 있는 예술 활동을 이어오며 각자의 무대에서 인정받아온 세 연주자가 결성한 예술 단체다. 김나영(판소리, 국가무형유산 판소리 이수자, 목원대학교 국악과 교수), 김은수(거문고, 국가무형유산 거문고산조 이수자,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부수석), 서은영(가야금, 국가무형유산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수자,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지도단원)은 남도 음악의 대가 이태백의 문하에서 만나 수년간 호흡을 맞추며 예술성을 키워왔다.
이번 공연에서는 남도 민요, 판소리, 진도씻김굿 등 남도 지역의 정서와 서사를 대표하는 곡들을 한데 엮어 구성했다. 화려한 편성을 배제하고 현악기와 타악기만으로 구성된 절제된 반주는 오히려 노래의 결을 섬세하게 부각시키며, 현악기의 리듬적 실험은 곡마다 감정의 파장을 섬세하게 그려낸다.
첫머리를 여는 민요는 남도 민요의 대표적인 정서와 언어를 사용하면서도 슬픔에만 국한되지 않는 곡으로 선정했다. 다양한 감정을 담아내고 있는 민요 ‘달타령’, ‘봄노래’, ‘동해바다’를 선보이며 슬픔과 희망이 함께 어우러지는 남도 음악의 역설적 미감을 선보이고자 했다. 다음으로 ‘적벽대전’ 대목에서는 거문고가 동남풍을 일으키는 흐름으로, 가야금이 불길 속으로 스러지는 군사들의 절규로, 판소리는 장수들의 호령으로 변모하며 소리와 이야기, 연기와 연출이 어우러진 총체적 예술의 정수를 보여준다. 마지막 곡인 진도씻김굿 중 ‘제석거리’는 의례적 연행을 배제하고, 신과 인간의 소통을 악기 간의 교감으로 전환해 새로운 방식의 ‘씻김’을 제안하는 무대다.
공연 ‘삼부작(三婦作)’은 세 명의 여성 국악인이 전통과 현재를 잇는 탐구와 창조의 여정을 시작하는 프로젝트다. 이 공연은 단발성이 아닌 지속 가능한 전통의 재해석을 향한 첫 걸음이며, 남도소리의 깊이와 너비를 새로운 언어로 풀어내는 시도이기도 하다. 이번 무대에는 지도와 구성으로 함께한 이태백, 타악의 김태영, 해설을 맡은 윤중강이 함께 참여해 공연의 완성도를 더했다.

-
[공연] 뮤지컬 ‘왕세자실종사건’, 20주년 맞아 영등포아트홀 무대에 오른다
-
[문화일반] 현존 최고의 소해금 테크니션 ‘량성희’ 국내 첫 녹음 디지털 앨범 ‘꽃이 피다’ 발매
-
[문화일반]
-
[공연] ‘제2회 대한민국가족연극제 The집’ 개최
-
[공연] ‘프랑켄슈타인: 더 뮤지컬 라이브’ 9월 스크린에서 되살아난다
-
[공연] 서울돈화문국악당-상주단체 광대생각, 공공프로그램 ‘안녕? 물방울!’ 성료
-
[공연] 김영랑의 시가 울리는 무대, 입체 낭독극 <영랑> 공연
-
[공연] 피아니스트 김희정, 독주회 ‘보이지 않는 풍경’ 개최…상상력 자극하는 무대 선보인다
최신글이 없습니다.
ⓒ 아트앤컬쳐 - 문화예술신문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