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미술하는 작가’ 전진경의 신간 ‘수요일마다 그림 그리러 가겠다고 말했다’ > 출판

본문 바로가기

출판

‘현장에서 미술하는 작가’ 전진경의 신간 ‘수요일마다 그림 그리러 가겠다고 말했다’

본문

알록출판사가 예술가 전진경 작가의 신간 ‘수요일마다 그림 그리러 가겠다고 말했다’를 펴냈다.


fba26b9ebad895f500d35e7766480ff9_1733054405_2853.jpg
 


전진경은 ‘이웃과 예술이 필요한 장소에 스스로를 파견’해서 그림을 그려온 작가다. 대추리, 강정마을, 용산4구역과 남일당, 한진중공업 희망버스, 세월호 연장전 등 연대의 목소리가 필요한 현장마다 화가 전진경이 있었다.

2012년 전진경은 콜트콜텍 해고 노동자들이 농성하고 있던 빈 공장에 들어가 입주 작가로 살았다. 복직 농성을 하는 노동자들과 함께 밥을 먹고 일상을 공유하면서 흔히 현장 미술이라고 일컫는 범주를 넘어서는 관계와 만남을 경험했다. 그러는 과정에서 회화를 아우르는 새로운 예술이 저절로 피어남을 목격했고, 여러 작가와 노동자들의 협업으로 ‘부평구 갈산동 421-1 콜트콜택殿’이라는 게릴라 전시를 열기도 했다. 예술과 연대의 역동을 체감했다.

그러던 어느 날, 법원의 행정대집행으로 콜트 공장이 무너졌다. 해고 노동자들은 거리에 천막을 세우고 복직 농성을 계속했다. 전진경은 개인 작업실로 돌아갔다. 그런데 ‘무언가 꽤 중요한 게 사라지고 있는 것 같아서’ 마음이 불편했다. 그래서 ‘드로잉 데이’를 만들었다. 수요일마다 그림 그리러 오겠다고 말했다. 잠깐일 줄 알았던 선언은 농성이 끝날 때까지 4년여 동안 계속됐다.

‘수요일마다 그림 그리러 오겠다고 말했다’는 전진경이 콜트콜텍 해고 노동자들의 농성 천막에 매주 찾아가서 그림을 그린 4년 여의 시간을 기록한 그림 기록집이다. 농성 천막에서 그린 140여 점의 드로잉 중 40여 점을 추려서 구성했다.

이 책에는 예술가 전진경이 매주 농성장에 찾아간 이유와 그곳에서 포착한 장면들이 담겨 있다. 천막에서의 시간과 빈틈, 공기와 분위기를 담은 이 그림 기록집은 예술과 노동, 아름다움과 쓸모, 이웃과 연대의 경계를 묻는다. 짧은 글과 회화적인 그림의 상호작용은 사실에 기반한 이야기를 더욱 아름답고 뾰족하게 전하며, 그림 기록집이라는 새로운 모형을 제시한다.

이 책은 사회에서 이질적으로 취급되는 해고 노동자들의 복직 농성 시간에도 일상과 삶이 흐르고 있음을 드러낸다. 자본주의가 해고 노동자들에게 빼앗아 갔던 생기와 유머를 화가 전진경은 자신의 회화 작업을 통해 끄집어낸다. 해고 노동자를 대상화하지 않으면서 동시대를 살아가는 이웃이자 우정과 환대를 나누는 동료 시민으로서, 곁에 선 예술가로서 기록하고 그린다. 부당 해고에 저항하는 노동자를 목격한 예술가의 담담하면서도 따듯한 시선에서 웃음과 울림이 전해진다.

타인의 슬픔을 정면으로 그리지 않는 마음
현장과 타인을 대상화하지 않는 예술가의 주체성

긴 시간 이어져 온 연대의 흔적, 자유로운 붓질에서 드러나
작가의 생기와 현장이 주는 활력이 어우러져 
그 사이에서 피어난 역동적인 예술 세계

전진경은 해고 노동자들의 복직 농성 시간에도 일상과 삶이 깃들어 있음을 보여준다. 천막에서 만난 꽃과 새, 도구와 옷감, 갈증과 몸짓을 통해 그 안에 살아 있는 에너지를 포착한다. 사회가 그들에게서 빼앗기도 했던 생기와 유머를 회화 작업을 통해 끄집어낸다.

이런 과정 중에 전진경은 예술과 연대의 윤리, 미학과 태도에 대한 고민을 이어 갔다. 노동자를 완전히 대변하거나 그들과 동일하게 되기보다 동시대를 살아가는 이웃이자 우정과 환대를 나누는 동료 시민으로서 자신의 예술적 행위와 마음을 표출한다.

‘우리는 분명 다른 세계에서 왔으나 그 다름으로 인해 각각의 존재가 더욱 뚜렷해졌고 지지와 연대는 깊어졌다.’

각자의 정체성을 지키며, 예술가와 노동자가 현장에서 공존하는 일상은 전진경에게 회화적 기법의 변화로도 이어졌다. 전진경은 동양화를 전공했지만, 현장에서 피어나는 역동성에 몸을 맡기며 여러 가지 다양한 재료와 기법으로 붓질을 했다. 기동성 있는 재료를 순발력 있게 쓰는 과정에서 회화적인 실험과 도전이 이어졌고, 이는 다시 노동자들의 일상을 노크하는 다정한 목소리가 됐다.

또한 전진경이 가진 유머와 생기는 현장 자체가 주는 고유한 에너지와 만나, 자칫 무거울 법한 이야기에 웃음과 활력을 불어넣었다.

사라진 현장에 대한 애도와 기억
너무 늦지도, 빠르지도 않게 도착한 마음

이 책은 예술가 전진경이 콜트콜텍 해고 노동자들과 천막에서 보낸 4년 여의 시간을 담은 기록집인 동시에, 전진경이 10여 년간 몸담아 온 코뮌이자 광장으로서의 콜트콜텍 복직 투쟁 노동자들에 관한 애도의 기록이다. 자본주의와 노동 멸시에 저항한 노동자들에 대한 존경의 표현이자 한 시대에 대한 묵직한 헌사이기도 하다.

전진경은 콜트 공장에서 날마다 노동자들을 만났던 시기에는 그들을 그리지 않았다. 그들을 대상화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겼다. 그러나 이후 공장이 무너지고 복직 농성 투쟁을 하는 노동자 아저씨들을 간간이 만나게 될 때, 이때부터 전진경은 ‘노동자 아저씨들’을 그리곤 했다. 그들을 ‘아는 사람’이 됐기 때문이다. 이것은 복직 농성을 하는 노동자들의 싸움 기록이기도 했고, 사회가 경계 밖으로 밀어내는 노동자들에 대한 응원이자, 경계를 만들고 바깥으로 사람을 추방시킨 세상을 그리는 것이다. 





ⓒ 아트앤컬쳐 - 문화예술신문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14 건

하경화, 최연수, 김유정 교수 ‘연기, 그 첫 번째 단계’ 펴내

하경화 청주대학교 예술대학 연극영화학부 교수와 최연수, 김유정 상명대학교 예술대학 연극전공 겸임교수 공저

도서출판 문학공원은 하경화 청주대학교 예술대학 연극영화학부 교수와 최연수 상명대학교 예술대학 연극전공 겸임교수, 그리고 김유정 상명대학교 예술대학 연극전공 겸임교수가 공저로 ‘연기 그 첫 번째 단계’를 펴냈다고 21일 밝혔다.  ‘연기, 그 첫 번째 …

박민수

도서출판 문학공원, 먼동가수연합회 김병걸 작품집 ‘먼동 악보집’ 제1집 펴내

먼동가수연합회 출판기념회 겸 신년교례회 및 시상식도 함께 열려

도서출판 문학공원은 먼동가수연합회(회장 나일강)의 김병걸 작품집 ‘먼동 악보집’ 제1집을 펴냈다고 밝혔다. 김병걸 작사가는 가수 진성이 부른 ‘안동역에서’의 작사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먼동가수연합회 김병걸 작품집 ‘먼동 악보집’ 제1집, 380페이지서정가요포럼 대표 작…

박민수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발간 ‘두 점 이야기’ 그림책, 2025 볼로냐 라가치상 ‘어메이징 북셸프 지속가능성 부…

민주화운동기념관 개관 프로젝트로 진행된 ‘민주인권그림책’ 시리즈 중 ‘두 점 이야기’ 선정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이사장 이재오, 이하 사업회)가 출간한 ‘민주인권그림책’ 시리즈 중 한 권인 ‘두 점 이야기’(요안나 올레흐 글, 에드가르 봉크 그림, 이지원 옮김)가 2025 볼로냐 라가치상 ‘어메이징 북셸프 지속가능성 부문’에 선정됐다.‘두 점 이야기’ 표지사업…

박민수

제목 예술가의 성냥갑: 독학 예술가 오혜재 글모음

3년간의 집필을 통해 예술적 성찰과 탐구, 새로운 시각 제시

한국의 독학 예술가(self-taught artist) 오혜재가 네 번째 예술서 『예술가의 성냥갑』을 출간했다. 이 책은 2022년 4월부터 2025년 3월까지 저자가 집필한 예술 관련 리뷰, 칼럼, 비평을 엮은 작품으로, 예술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고 스스로를…

아트앤컬처

전지나 작가의 ‘울지 마’ 그림책, 디픽투스 ‘미출간 그림책 쇼케이스’서 한국 1위 올라 뉴스 제공

전지나 작가의 첫 창작 그림책 ‘울지 마(Girls Don’t Cry)’(두두플래닛K)가 세계적인 그림책 플랫폼 ‘디픽투스(dPICTUS)’의 ‘제6회 언퍼블리시드 픽처북 쇼케이스(The Unpublished Picturebook Showcase)’에서 한국 1위 작품…

아트앤컬처

좋은땅출판사, 시집 ‘무명시인으로 사는 것도 괜찮아’ 출간

시인이 ‘들풀 인생을 살아가는 들꽃 같은 당신에게’ 바치는 다섯 번째 시집

좋은땅출판사가 ‘무명시인으로 사는 것도 괜찮아’를 펴냈다. ‘무명시인으로 사는 것도 괜찮아’, 김난주, 좋은땅, 144쪽, 1만2000원 ‘들풀 인생을 살아가는 들꽃 같은 당신에게’ 바치는 시집‘무명시인으로 사는 것도 괜찮아’는 순진무구한 심정으로 김…

박민수

애플북스, 주석으로 쉽게 읽는 ‘고정욱 그리스 로마 신화’ 출간

신과 인간이 하나 된 세상, 서양 고전의 정수를 새롭게 만나다

아동·청소년 소설의 대가며 2025년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추모상(ALMA) 후보이기도 한 고정욱 저자가 주석으로 쉽게 읽는 ‘고정욱 그리스 로마 신화’(전 10권, 애플북스(비전비엔피))를 출간했다.‘고정욱 그리스 로마 신화’ 세트‘그리스 로마 신화’는 단순한 옛날이야…

박민수

좋은땅출판사 ‘아카펠라로 교회음악을 노래하다’ 출간

좋은땅출판사가 ‘아카펠라로 교회음악을 노래하다’를 펴냈다.전상길 지음, 좋은땅출판사, 252쪽, 1만8000원 ‘아카펠라로 교회음악을 노래하다’는 한국교회의 아카펠라 찬양 보급과 발전을 위해 평생을 헌신해 온 전상길 박사의 깊은 통찰과 연구가 담긴 책이다. 저…

박민수

북랩, 사진으로 담아낸 순례의 기록 ‘사진가가 찾은 한국의 아름다운 성당 50선’ 출간

신앙과 희망을 품은 영혼의 안식처, 한국 성당의 역사와 숨결을 전하다

전국의 아름다운 성당을 엄선해 사진과 함께 성당이 간직한 역사와 이야기를 담아낸 책이 출간됐다.‘사진가가 찾은 한국의 아름다운 성당 50선’, 조남대·홍덕희 지음, 북랩은 가톨릭영시니어아카데미 사진연구회원 10명이 전국의 성당 중 50개를 엄선하고, 두 명의 …

박민수

알라딘, 2025년을 여는 ‘한국문학의 얼굴들’ 김애란, 이병률 작가 선정

인터넷 서점 알라딘은 한국문학 분야 독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2024 한국문학의 얼굴들’ 투표에서 김애란과 이병률 작가가 선정됐다고 밝혔다.2024 ‘한국문학의 얼굴들’ 선정 작가 김애란(ⓒinboil) ‘한국문학의 얼굴들’은 한국 소설과 한국 시를 대상으로…

박민수

문예출판사, 문예세계문학선 신간으로 노벨문학상 수상자 존 스타인벡의 소설 ‘진주’ 출간

문예세계문학선 신간(134)으로 노벨문학상과 퓰리처상을 수상한 사실주의 문학의 거장 존 스타인벡의 ‘진주’가 출간됐다. ‘진주’는 스타인벡이 멕시코 민담을 소재로 집필한 작품이다. 이 소설에서는 인간 욕망의 무상함이라는 주제가 무해한 자연의 삶, 탐욕적이고 구원이 없는…

박민수

무명의 빛나는 무대, '무명이라고 아마추어는 아닙니다' 출간

배우 이헌주, 솔직하고 따뜻한 이야기로 독자와 소통하다

도서 <무명이라고 아마추어는 아닙니다> 표지오랜 시간 연기를 해왔지만 대중에게 낯선 배우 이헌주가 쓴 에세이 ‘무명이라고 아마추어는 아닙니다’가 출간됐다. 이 책은 단순한 배우의 자전적인 이야기를 넘어, 우리 사회 속 수많은 ‘무명’들에게 깊은 공감과 위로를…

아트앤컬처

열람중‘현장에서 미술하는 작가’ 전진경의 신간 ‘수요일마다 그림 그리러 가겠다고 말했다’

알록출판사가 예술가 전진경 작가의 신간 ‘수요일마다 그림 그리러 가겠다고 말했다’를 펴냈다. 전진경은 ‘이웃과 예술이 필요한 장소에 스스로를 파견’해서 그림을 그려온 작가다. 대추리, 강정마을, 용산4구역과 남일당, 한진중공업 희망버스, 세월호 연장전 등 연대의 목소리…

아트앤컬처

좋은땅출판사 ‘현대미술, 첫걸음’ 출간

예술과 가까워지는 시작: 현대미술 가이드

좋은땅출판사가 ‘현대미술, 첫걸음’을 펴냈다.임민영 지음, 좋은땅출판사, 144쪽, 1만8000원현대미술에 대한 두려움을 낮추고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돕는 입문서 ‘현대미술, 첫걸음’이 출간됐다. 이 책은 서울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미술이론과 회화를 전공하며 …

아트앤컬처

좋은땅출판사 ‘9세 이전 놓치면 평생 아쉬운 미술 공부’ 출간

우리 아이의 자기표현력과 성취감을 키우는 아트에세이 커리큘럼

좋은땅출판사가 ‘9세 이전 놓치면 평생 아쉬운 미술 공부’를 펴냈다.미술 교육은 아동이 ‘나’라는 존재를 마주하고, 관심 있는 주제나 생각을 그림으로 확장해 기록하는 과정이기에 굉장히 소중하다. 특히 9세 이전 아동에게 ‘그림’이라는 도구는 누구나 보편적으로 사용할 수…

박민수
게시판 전체검색
다크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