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직순 개인전 《필촉(筆觸): Gesture》 개최 > 이주의 전시

본문 바로가기

이주의 전시

임직순 개인전 《필촉(筆觸): Gesture》 개최

예화랑, 2025.11.1 (토) - 2025.12.5 (금)

본문

예화랑은 11월 1일부터 12월 5일까지 밝고 정감어린 색채와 활달한 필치로 한국 근현 대 미술사에 굵직한 족적을 남긴 화가 임직순(1921-1996)의 개인전 《필촉 筆觸》을 개최 한다.

01364ee0b1e431d9ad924e5e72ac6c31_1761417651_7532.JPG
임직순, 가을의 여인 97x145.5cm Oil on canvas 1974 © 작가, 예화랑

01364ee0b1e431d9ad924e5e72ac6c31_1761417653_3534.JPG
임직순, 만추 38.2x34cm 종이에 연필,수채 1986 © 작가, 예화랑

01364ee0b1e431d9ad924e5e72ac6c31_1761417653_6355.JPG
임직순, 설경의 설악산 100x72.6cm Oil on canvas 1992 © 작가, 예화랑

01364ee0b1e431d9ad924e5e72ac6c31_1761417654_2698.JPG
임직순, 소녀 41.2x32cm  종이에 수채 Watercolor on paper 1984. © 작가, 예화랑

본 전시에서는 임직순의 작품세계에 큰 변화가 찾아온 1973년 파리의 Monnet & Peterie 화랑에서 열린 개인전을 계기로 1년간 파리에서 체류하던 당시 풍경을 담은 스케 치들과, 1974년 서울로 돌아온 후 1980년대 왕성하게 활동하던 시절의 작품에 초점을 맞 추어 선보일 예정이다. 1980년대의 임직순은 초기의 색채의 조화에 몰두했던 ‘시각적(視覺的) 진실’에서 내면의 탐구를 통한 ‘심각적(心覺的) 진실’로 변화하며 원숙한 화풍을 이룩 하였다.

따라서 이번 전시는 임직순 예술의 절정기에 펼쳐진 유화, 수채화, 스케치 등 다양한 기 법의 작품들을 통해 그의 화풍을 이루는 근간을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주 목할 만하다.
 
1973년 파리의 풍경을 담은 스케치에서는 세세한 형태묘사를 과감히 생략한 간결한 구성과 분방한 필치가 돋보인다. 예술가로 서 당당히 유럽에서 활동하는 자신에 대한 성찰이 느껴지는 자 화상, 그 당시 프랑스에서 조각가로 성공을 거두며 활동을 하던 조각가 문신의 작업실을 방문하여 그린 스케치도 눈길을 끈다.

이는 1980년대 한국의 산천을 담은 드로잉에서도 한층 깊이를 더해 이어져, 그의 잔잔한 물결처럼 부드럽지만 활력이 넘치는 붓터치는 보는 이로 하여금 자연의 리듬과 내적인 울림을 느낄 수 있게 한다. 말년 작<설경의 설악산(1992)>은 그의 원숙한 필 치가 집약된 작품으로, 힘찬 선으로 대담하게 표현한 산의 형세 와 남색과 흰색의 강렬한 대비가 인상적이다.

또한 임직순의 수채화에서는 강렬한 색채 화가로 알려졌던 그 의 새로운 면모를 느낄 수 있다. 그가 평생 사랑한 테마인 꽃과 소녀는 투명한 물빛 컬러와 담백한 붓질로 한층 온화하고 부드 러운 공기가 감싸여 있어, 임직순 특유의 천진한 표현이 엿보인 다. 반면 유화로 그린 <가을의 여인(1974)>에서는 붉은 단풍과 따뜻한 낙엽의 색을 닮은 여인의 차분한 모습에서 깊은 가을의 서정성을 느낄 수 있다.
 
임직순의 작품은 처음에는 태양을 닮은 강렬한 색채로 시선을 사로잡지만, 이후에는 생명력을 담은 필촉에 매료된다. 이에 대해 평론가 이구열은 “그림은 본래 필치, 색채, 형상으로 성립되는 것이다. 현대회화의 어떤 양상에서는 무필치, 무색채, 무형상의 평면 작업으로 현대적 조형미학을 주창하기도 하지만, 전통적 인감상 대상의 그림에서는 앞에 말한 기본요소가 중요한 핵심이다. 임직순의 작품세계에는 그 요소들이 충만하고 있다.” 고 하였다. 화가 임직순의 따스한 체온을 가진 《필촉 筆觸》의 충만한 세계를 관람객들과 함께 느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아트앤컬쳐 - 문화예술신문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474 건 - 1 페이지
게시판 전체검색
다크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