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아트 ‘디지털 방식’으로 IP를 재창조하다 > 문화일반

본문 바로가기

문화일반

K-아트 ‘디지털 방식’으로 IP를 재창조하다

셔더, 팀펄, 이프비, 널위한문화예술, 백그라운드아트웍스… 예술 IP를 ‘서비스’, ‘경험’, ‘매체’로 제공하는 새로운 방식 제시

본문

예술 IP가 디지털 기술을 만나면서 ‘소유’ 중심의 전통적 미술 소비 방식에서 벗어나 ‘구독·체험·경험’ 중심으로 급격한 전환을 맞고 있다. 국내 예술 스타트업 △셔더 △팀펄 △이프비 △널위한문화예술 △백그라운드아트웍스는 이러한 변화의 선두에서 예술 IP의 산업적 가치를 재정의하며 새로운 시장을 열고 있다.


29d4078f622b1db6c49ef49c89c12997_1764336417_323.jpg
백그라운드아트웍스 ‘유로운(Urowoon)’을 통한 인테리어 환경에 맞춘 예술 큐레이션 서비스(사진: 엠와이소셜컴퍼니)


먼저 셔더는 미디어아트 콘텐츠를 SaaS 기반으로 전환한 ‘빔몬스터(BEAMONSTER)’를 통해 예술의 유통 구조 자체를 바꾸고 있다. 단순 납품형 전시에서 벗어나 디스플레이·서버·콘텐츠를 통합 제공하는 구독형 플랫폼 모델을 구축했다. 지난 9월 한남동에서 열린 팝업 전시에서는 VR 아티스트 염동균 작가와 협업해 몰입형 쇼케이스를 선보이며 예술 IP가 공간을 넘어 플랫폼 생태계로 확장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


널위한문화예술은 전시·도슨트 기반 체험형 콘텐츠를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시키고 있다. 올해 홍콩 아트위크 기간 ‘아트센트럴’과 ‘서퍼클럽’ 행사에 참여해 도슨트 투어 전석을 매진시키며 현지에서 강한 반응을 이끌었다. 이후 두 기관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며 한국 예술 IP가 국경을 넘어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임을 보여줬다.


팀펄은 자체 IP ‘피어리(Peary)’를 중심으로 XR 기반 세계관을 구축하며 예술 IP의 확장 가능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2025 청주공예비엔날레’에서는 AR 벤딩머신, 게이미피케이션 콘텐츠, 참여형 전시 등을 선보여 기술과 예술의 융합이 만들어낼 차세대 콘텐츠 시장을 제시했다.


도시를 예술 캔버스로 변모시키는 기업도 있다. 이프비는 건물 외벽에 키네틱 아트 기술을 접목해 도시 유휴 공간을 대형 미디어 매체 IP로 재구성하고 있다. ‘승리의 여신: 니케’ 수묵화 광고 등 예술·광고 융합 사례는 대중적 주목을 받았으며, 일본·태국 등 해외로도 사업을 확장 중이다.


백그라운드아트웍스는 ‘유로운(Urowoon)’ 플랫폼을 통해 공간 맞춤형 커미션 아트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 코엑스 ‘2025 공간디자인페어’에서 “Your Own Story”라는 슬로건으로 개인 서사를 한 점의 예술 작품으로 구현하는 서비스를 선보여 젊은 세대의 호응을 얻었다. 합리적 가격의 커미션 예술 IP는 2030세대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 5개 기업은 현재 문화체육관광부·예술경영지원센터 주최 ‘2025 예술분야 창업도약(유형2)’ 프로그램을 통해 글로벌 확장 전략을 고도화하고 있다. 특히 널위한문화예술, 팀펄, 백그라운드아트웍스는 초기 창업 단계부터 체계적 육성을 받아온 기업들로, 이번 프로그램을 통해 스케일업을 가속화하고 있다.


엠와이소셜컴퍼니(MYSC) 최유진 팀장은 “이들 기업은 예술 IP를 새롭게 해석하고 산업화하는 방향에서 매우 설득력 있는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며 “국내를 넘어 글로벌 시장에서도 경쟁력 있는 구조를 갖추도록 전략과 검증 과정을 함께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 아트앤컬쳐 - 문화예술신문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게시판 전체검색
다크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