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공예비엔날레,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맞손…아시아 문화예술 허브로 도약
본문
청주공예비엔날레조직위원회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지난 22일(화) 오후 2시 문화제조창에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공예 문화예술 분야 상호 협력 및 국제 네트워크 확대를 위한 공동의 노력을 다짐했다. 이번 협약은 K-공예를 대표하는 '2025 청주공예비엔날레'와 아시아 문화교류의 핵심 기관인 ACC의 '아시아문화주간'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한 첫 만남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공예문화예술로 아시아와 청주를 잇는 연대가 시작됐다.(사진 청주공예비엔날레)
이번 협약을 통해 양 기관은 ▲문화예술 콘텐츠 교류 활성화 ▲전시·교육·공연 등 인적·물적 자원 상호 지원 ▲국제문화예술 네트워크 구축 ▲실무자 현장 답사 및 교류 등에 적극 협력하며 아시아 문화예술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청주와 광주에서 동시에 꽃피울 예정이다.
그 첫걸음으로 오는 9월 27일과 28일에는 ACC '아시아문화주간'에 참여하는 해외 아시아 예술가 30여 명이 청주를 방문한다. 이들은 '2025 청주공예비엔날레' 관람 및 '짓기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공예마켓에서 자신들의 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에 대한 화답으로 비엔날레는 10월 1일부터 4일까지 광주광역시를 방문해 '아시아문화주간' 행사장에서 '2025 청주공예비엔날레'를 홍보하고 마켓에 참여할 계획이다.
김상욱 ACC 전당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청주공예비엔날레가 26년간 쌓아온 역사와 아카이브, 그리고 국내외적 네트워크가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추진 사업들과 유기적으로 연대하고 상생하며 동반 성장하게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변광섭 비엔날레 집행위원장은 "이번 협약은 세계 공예도시 청주가 아시아 국가들과의 네트워크를 더욱 견고히 다지는 기틀이 될 것"이라며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지속적으로 긴밀히 소통하고 협력하며 아시아의 공예문화예술을 함께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화답했다.
한편,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기관인 ACC는 2015년 개관한 국내 유일의 아시아 문화예술 전문 복합기관으로 광주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다. 동시대 아시아의 예술과 혁신적 아이디어가 만나 미래지향적인 문화적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국제적 플랫폼이자 문화교류 기관으로, 아시아의 다양성을 존중하며 상호 이해와 공존을 도모하고 있다.
청주공예비엔날레는 1999년 공예 분야 세계 최초의 국제 전시로 시작해 2년마다 행사를 개최하며 세계 공예의 흐름을 주도하고 청주를 세계 공예의 중심지로 발돋움하게 만든 K-공예의 대표주자다. 올해는 오는 9월 4일부터 60일간 '세상 짓기 Re_Crafting Tomorrow'를 주제로 문화제조창과 청주시 일원에서 개최된다.

-
[문화일반] 청주공예비엔날레, 국립아시아문화전당과 맞손…아시아 문화예술 허브로 도약
-
[전시] 김기정, 로지은 2인전 《잠금해제》 개최
-
[전시] 정태후·홍근영·스메야 3인전 《존재의 감각》 개최
-
[전시] 구기정, 서동욱, 송수민, 정소영 4인 그룹전 《The Garden of Forking Paths》 개최
-
[전시] 시오타 치하루 개인전 《Return to Earth》 개최
-
[재단/단체소식] 경기도자미술관, 여름방학 맞아 전 연령 대상 특별 교육 프로그램 기획
-
[전시] 다원예술《숲》 하이너 괴벨스의 멀티미디어 설치 작업 <겐코-안 03062> 개최
-
[전시] 한희숙 개인전 《유랑의 색깔 – 속삭이는 것들의 춤》 개최
최신글이 없습니다.
ⓒ 아트앤컬쳐 - 문화예술신문
댓글목록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