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루토 아르디 개인전 《Get the Job Done》 개최 > 이주의 전시

본문 바로가기

이주의 전시

마루토 아르디 개인전 《Get the Job Done》 개최

상히읗, 2025. 4. 9.(수)—5. 3.(토)

본문

상히읗은  4 9일부터 5 3일까지 인도네시아 반둥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마루토 아르디의 개인전 《Get the Job Done》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아르디의 작업이 처음으로 한국에 소개되는 자리로인도네시아적 사고 방식인 ‘아칼-아칼란을 기반으로 한 그의 작업 세계를 조명한다.


 ‘아칼-아칼란은 제한된 조건 속에서 즉흥 적으로 해결책을 찾아내는 능력을 뜻하며인도네시아의 건설 노동자들이 정해진 규범이나 틀에 얽매이지 않고 주어진 재료를 활용해 도구를 직접 만들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개념이다.


d88c36ace7eae498e526dc8f0386f840_1744133379_8864.jpg

마루토 아르디 개인전《Get the Job Done》전시전경 © 작가상히읗


d88c36ace7eae498e526dc8f0386f840_1744133388_8927.jpg

마루토 아르디 개인전《Get the Job Done》전시전경 © 작가상히읗


d88c36ace7eae498e526dc8f0386f840_1744133390_9265.jpg
마루토 아르디 개인전《Get the Job Done》전시전경 © 작가상히읗

 

이번 전시에서 소개되는 <나사 (Screw Book)> 연작은 인도네시아의 시각적 요소들과 작가의 개인적 경험작가이자 타작가의 조수 그리고 아트 핸들러로 활동이 결합되어 확장된 그의 대표작이다


책과 나사를 활용하여 반복적인 패턴으로 벽을 채우는 이 연작은 공사 현장이나 길거리에서 발견되는 비정형적인 구조물과 다양한 작품이 설치되었다가 다시 철거되는 전시 현장에서 영감을 받은 작품으작가는 이를 통해 남겨진 흔적이나 정돈되지 않은 것들의 미학을 탐구한다.


 아르디에게 ‘은 지식이나 이야 기를 담고 있는 매체로서의 의미보다는, 이미지가 인쇄된 종이가 켜켜이 쌓여있는 물리적 구조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반듯한 책의 크기와 두께는 그 자체로 수평을 맞추는 측정 도구이자 구조적 기반으로 기능하며이는 주변 사물을 창의적으로 조합해 도구를 만드는 아칼-아칼란적 사고 방식과도 궤를 같이 한다. 또한, 이전 작업에서 중고 책을 활용했던 것과 달리이번 연작에서는 작가가 최근 관심을 두고 있는 사진집에 영감을 받아 직접 제작한 책을 사용하여 새로운 형태를 제시한다.


상히읗의 공간적 특성에 영감을 받아 제작된 <Parallel Walls>(2025) 작품이 설치되는 공간을 우선 고려하 는 아르디의 작업 세계를  드러낸다. 빨간색과 연두색 물이 채워진 호스로 연결된  개의 책이 상히읗의  전 시 공간에 각각 설치되는데, 이는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는 물의 물리적인 원리를 바탕으로 한다. 호스 안의 물은 책의 이미지와 정확히 일치하도록 제작되었는데, 이때 책의 이미지가 마치 (ruler) 새겨진 세밀한 눈금처럼 기능하며 각각의 공간에 설치된  개의 책이 수평을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있도록 한다.  작품을 통해 관 객은 분리된 두 공간을 유연하게 오가며 작품을 감상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본인만의 해석에 다다르게 된다.

 

<The Everyday>(2025) <나사 > 연작의 변주이자 확장된 작업으로, 하우스 오브 카드 구조에서 착안  작품이다.  작품에서  새로운 기능을 부여받아, 하드커버 책이 반쯤 펼쳐져 세워지는 받침대 구조로 작동한다. 작가는 책이 무너지지 않도록 책등을 볼트로 고정시키고, 책 표지에는 야간 조명 아래 거리의 물건을 담은 사진을 음각으로 새겨넣었다. 이는 책이 가진 물리적 특성을 재해석한 것일 뿐만 아니라 사물이 공간을 점 유하는 방식에 대한 질문으로, 불안정한 구조와 시스템을 전복하려는 작가의 태도를 반영한다.

 

책이 단순한 지식의 매개체를 넘어 물리·구조적 요소로 확장될 , 우리는  경계의 유연성을 어디까지 인정   있을까? 책에서 출발한 나사 패턴이 벽을 타고 확장될 , 책이 수평자로 혹은 받침대로 기능할 , 아르디 는 어디까지가 작품이며 어디부터가 여백인지 되묻는다.

 

완벽하거나 멋지지 않아도그럭저럭 완수하면 된다 표현의 전시 제목이 시사하듯Get the Job Done》  효율성을 추구하는 인도네시아적 사고에서 출발했다하지만 이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모든 이들에게 적용 되는 경험이기도 하다아르디는  전시를 통해 고정된 관념이나 생각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선에서  가능 성에서 사유하기를 독려한다.

 


ⓒ 아트앤컬쳐 - 문화예술신문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1,111 건 - 1 페이지
게시판 전체검색
다크모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