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관련 블로그 검색 74 건
- 태종실록19권, 태종 10년 4월
- * 문소전에 제사지내고 축문 등의 제례 규식을 상고하게 하다 임금이 친히 문소전(文昭殿)에 제사하였다. 종전에는 축문(祝文)에 ‘초1일 삭(朔) 모갑자(某甲子)’라고 썼었는데, 역삭 교서 교감(役朔校書校勘)...
- 상상연구님 블로그 보기
-  
- 퇴계 이황
- 퇴계 이황 광해 49권, 4년(1612 임자 / 명 만력(萬曆) 40년) 1월 16일(신해) 3번째기사 충청 감사 박이서가 성운의 묘가 발굴된 일이 있음을 아뢰다 충청 감사 박이서(朴彝敘)가 치계하기를, “보은현(報恩縣)에 고 처사...
- swrh22님의 블로그님 블로그 보기
-  
- 서럽도록 아름다운 절 선암사
- 이 용을 뽑아내면 다리가 무너진다는 이야기가 있다는데 용이 아니고 아치를 이루고 있는 석재 중 어느... 1986년 8월 해체하여 복원할 때 동탑 1층 탑신 아래에서 금동 사리함에 사리 1과 청자 및 백자 등이...
- 정헌의 문화재 기행님 블로그 보기
-  
- 태종10년 1410년 4월(11일~30일)
- 마침 진(鎭)에 왔었는데 전궤자(典饋者)<음식을 맡은 사람.>가 여의(如意)치 못한 것에 노(怒)하여 그... 신이 이 말을 듣고 놀라서 아전[吏]을 보내 잡으니 성만이 또 활을 당겨 쏘고 마침내 임의로 진(鎭)을 떠나...
- 역사 블로그님 블로그 보기
-  
- 불설다라니집경(陀羅尼集經)12권
- 불설다라니집경(陀羅尼集經) 제12권 대당(大唐) 천축(天竺) 삼장(三藏) 아지구다(阿地瞿多) 한역. 김영덕 번역. 20. 불설제불대다라니도회도량인품(佛說諸佛大陀羅尼都會道場印品) 나는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 초록은 푸르고님 블로그 보기
-  
- 용인 8
- 백자(白磁)로 된 직사각형 모양이며 큰 것은 31×20×2.5cm, 작은 것은 28×17.5×2.5cm이다. 송언신초상 경기... 가는 이야기가 결합된 고사에 연원을 둔 것이다. 화면 중앙 4~5폭에 서왕모와 그녀를 방문한 주목왕의...
- 성보의 풍수여행님 블로그 보기
-  
- 상변통고 제15권○상례(喪禮) / 치장(治葬)
- [치장(治葬)] 〈단궁(檀弓)〉: 국자고(國子高)가 말했다. “장사〔葬〕는 감춤〔藏〕이다. 사람들이 보지 못하게 하려고 함이다. 이러한 까닭에 옷은 몸을 감싸기에 충분하고, 관(棺)은 옷을 두루 감싸고, 곽(槨)은...
- 전주류씨 22세손 류병훈의 사랑방님 블로그 보기
-  
- 성종 191권, 17년(1486 병오 / 명 성화(成化) 22년) 5월2일...
- 성종 191권, 17년(1486 병오 / 명 성화(成化) 22년) 5월2일-5월29일 성종 191권, 17년(1486 병오 / 명 성화(成化) 22년) 5월 2일(병오) 1번째기사 경연에 나아가다 경연(經筵)에 나아갔다. 【태백산사고본】 29책 191권 1장...
- 칠봉산 블로그님 블로그 보기
-  
- 태종10년 (1410년) 4월1일-4월28일 [조선왕조실록]
- 태종10년 (1410년) 4월1일-4월28일 [조선왕조실록] 태종 19권, 10년(1410 경인 / 명 영락(永樂) 8년) 4월 1일(정유) 1번째기사 문소전에 제사지내고 축문 등의 제례 규식을 상고하게 하다 임금이 친히 문소전(文昭殿)에...
- 칠봉산 블로그님 블로그 보기
-  
- 목은시고 [이색 1328-1396] 제23권 시(詩) 128편 중 1-61편
- [주D-005]서원(西原)의 옥윤(玉潤) : 서원은 상당(上黨)과 함께 청주(淸州)의 고호이고, 옥윤은 진(晉)나라 때 장인인 악광(樂廣)과 사위인 위개(衛玠)가 똑같이 명망이 높아서 당시의 논자(論者)들이, “장인은...
- 칠봉산 블로그님 블로그 보기
-  
- 1276. 다도 책 오카쿠라 덴신, 무라오카 히로 역
- 도교도의 이야기 -- 현 금세 부귀권세를 얻으려는 다툼 第二章 茶の諸流 제2장 차의 제류 [#4字下げ]茶の進化の三時期――唐、宋、明の時代を表わす煎茶、抹茶、淹茶――茶道の鼻祖陸羽...
- 이도저도 아닌 블로그님 블로그 보기
-  
- 다산시문집 제11권 -논(論)50편 -정약용[1762-1836]
- 다산시문집 제11권 -논(論)50편 -정약용[1762-1836] 논(論) 1 역론(易論) 1 2 역론 2 3 전론(田論) 1 4 전론 2 5 전론 3 6 전론 4 7 전론 5 8 전론 6 9 전론 7 10 직관론(職官論) 1 11 직관론(職官論) 2 12 악론(樂論) 1 13 악론 2 14...
- 칠봉산 블로그님 블로그 보기
-  
- [초창결] 반계 류형원과 아들 초창 류하의 부자문답서
- 초창결(蕉窓訣) 1) 반계 류형원 우리 나라 실학(實學)의 비조(鼻祖)로서 토지제도(土地制度) 관료제도(官僚制度) 군사제도(軍事制度) 교육(敎育) 및 인재등용법(人材登用法) 노예제도(奴隸制度)의 개혁론(改革論)...
- 無我님 블로그 보기
-  
- †성경강해2 / 성막론 2강
- 조 자는 흰 백자 밑에 비수 비자를 한 것인데( ) 옥편에도 잘 나오지 않습니다. 각 자는 뿔 각(角)... 나중에야 조각목이 한 조각의 나무가 아니고 아카시아 나무라는 것을 알고 당황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 noemisuh님의 블로그님 블로그 보기
-  
- 집주
- 진(陳) 나라로 가는데 광읍(匡邑)을 지나자 광읍의 사람들이 양호(陽虎)라고 생각하고 그를 구금(拘禁)... 거기를 떠나 송(宋) 나라로 갔는데 사마환퇴(司馬桓?)가 그를 살해하려고 하여 또 거기서 떠나 진(陳)...
- 학문의세계님 블로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