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사관련 블로그 검색 49 건
- 목은시고 [이색 1328-1396] 제20권 시(詩) 146편 중 1-63편
- 마음이 물아를 잊었거니 / 幸是此心忘物我 다시 어느 곳에서 신선을 찾으리요 / 更從何處覓神仙 기약 없이 왕래하긴 진정 어려운 일이니 / 往來邂逅誠難事 특별히 찾아가서 괴론 마음 위로하련다...
- 칠봉산 블로그님 블로그 보기
-  
- 목은시고 [이색 1328-1396] 제11권 시111수 중 1-69편
- 목은시고 [이색 1328-1396] 제11권 시111수 중 1-69편 [69수] 제11권 시(詩) 111수 중 1-69편 1 김용후(金龍喉) 장원(長源)이 문생(門生)들을 거느리고 그의 좌주(座主) 이 대부(李大夫)의 부인(夫人)을 맞이하여 장차 수상...
- 칠봉산 블로그님 블로그 보기
-  
- 목은시고[이색 1328-1396] 제21권 시(詩) 136편 중 87-136편
- 목은시고[이색 1328-1396] 제21권 시(詩) 136편 중 87-136편 제21권 시(詩) 136편 중 87-136편 87 한 상당(韓上黨)이 유포(柳浦)의 별장(別莊)에서 노닐다. 88 느낌이 있어 원재(圓齋)에게 바치다. 89 동정(東亭)에게 부치다. 90...
- 칠봉산 블로그님 블로그 보기
-  
- 사가시집 제30권 2번 시류(詩類) -[서거정 1420-1488]
- [주D-004]소광(疏廣)이 사직하던 해 : 소광이 태자태부가 된 지 5년 만에 스스로 성만(盛滿)을 경계하는 뜻에서 병을 핑계로 상소하여 사직하고 조카 소수와 함께 고향으로 돌아가려 하자, 천자는 황금 20근을...
- 칠봉산 블로그님 블로그 보기
-  
- 인셉션 - Inception
- (胡蝶之夢)’은 ‘물아(物我)의 구별을 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로, 장자(莊子)가 꿈에 나비가... 있으므로 경계해야 한다. 코브의 토템은 다른 Dreamer들의 토템보다 훨씬 강력하다. 현실과 꿈을 오가며...
- 프란님 블로그 보기
-  
- 연암집 제1권 -연상각선본(煙湘閣選本) [1번] - 박지원...
- 연암집 제1권 -연상각선본(煙湘閣選本) [1번] - 박지원(朴趾源, 1737∼1805) 연암집 제1권 [1번] 연상각선본(煙湘閣選本) 1 이자후(李子厚)의 득남(得男)을 축하한 시축(詩軸)의 서문 2 회우록서(會友錄序) 3 초정집서...
- 칠봉산 블로그님 블로그 보기
-  
- 송자대전(宋子大全) 제104권 -서(書) 송시열 [宋時烈 1607...
- 송자대전(宋子大全) 제104권 -서(書) 송시열 [宋時烈 1607-1689년] 송자대전 제104권 서(書) 1 김직경(金直卿) 간(榦) 과 김중고(金仲固) 재(栽) 에게 답함 - 갑인년(1674) 2월 9일 2 김직경(金直卿)과 김중고(金仲固)에게...
- 칠봉산 블로그님 블로그 보기
-  
- 雲林 倪瓚의 思想과 文人畵 世界
- 첨부파일 예찬의 사상과 그의 문인화 세계(최종본).pdf 파일 다운로드 雲林 倪瓚의 思想과 그의 文人畵 世界 Ⅰ.序 論 Ⅱ. 文人畵의 定義 Ⅲ. 倪瓚의 生涯와 思想 Ⅳ. 倪瓚의 畵風과 文人畵 世界 Ⅴ. 結 論 1. 序論...
- 후강 권윤희의 Uni-Lab 미탐(美探)님 블로그 보기
-  
- 陶隱先生詩集卷之三(1)(도은집)
- 陶隱先生詩集卷之三(1)(도은집) 陶隱公(도은공) 諱 崇仁(숭인) 영정 도은집 도은집 제3권(1) 시(詩) 정조 궁문 첩자 〔正朝宮門帖子 〕 배 중랑과 헤어지며〔別裵中郞〕 내원당의 대선사 구곡 운공이...
- 이화에 월백하고님 블로그 보기
-  
- 牧隱集(목은집) 牧隱詩藁 卷之十四(목은시고 제14권)
- 牧隱集(목은집) 牧隱詩藁 卷之十四(목은시고 제14권) 시(詩) 군자(君子)는 추향(趨向)하는 바를 삼가야 한다. 군자는 추향할 바를 삼가야 하니 / 君子愼所趨 맘이 갈래면 끝내 바루기 어려워 / 岐而卒難正 모두가...
- 이화에 월백하고님 블로그 보기
-  
- 허준구의 新 한시기행
- [만경희미천상매] 경계는 희미하여 하늘은 어두워 須臾火光漲天地 [수유화광창천지] 잠깐동안 빛이 온... 그렇지만 한창 봄날 이곳에서 자연과 하나된 물아일체[物我一體]의 모습을 보니 길게 써놓은 시가...
- 三流人生님 블로그 보기
-  
- 牧隱集(목은집) 牧隱詩藁 卷之二十(목은시고 제20권)
- 마음이 물아를 잊었거니 / 幸是此心忘物我 다시 어느 곳에서 신선을 찾으리요 / 更從何處覓神仙 기약... 정과 경계를 모두 잊은 까닭에 / 賴是忘情境 쑥대머리 괴고 게을리 누웠노라 / 蓬頭懶更支 연화지(蓮花池)...
- 이화에 월백하고님 블로그 보기
-  
- 牧隱集(목은집) 牧隱詩藁 卷之二十一(목은시고 제21권)
- 牧隱集(목은집) 牧隱詩藁 卷之二十一(목은시고 제21권) 목은시고(牧隱詩藁) 제21권 시(詩) 여흥(驪興)의 전토(田土)를 두고 읊다. 여흥 전토 하사받아 임금 은혜를 입었으니 / 驪興田土荷君恩 감격고도 부끄럽네...
- 이화에 월백하고님 블로그 보기
-  
- 명종실록 1권, 명종 즉위년 7월7일-7월30일
- 명종실록 1권, 명종 즉위년 7월7일-7월30일 명종실록 총서 왕의 휘(諱)는 환(峘), 자(字)는 대양(對陽)이다. 중종(中宗)의 둘째 아들이고 인종(仁宗)의 이모제(異母弟)이며, 모비(母妃)는 성렬 대비(聖烈大妃) 윤씨...
- 칠봉산 블로그님 블로그 보기
-  
- 명재유고(明齋遺稿) 제1권 -사부(辭賦), 시(詩) 윤증(尹拯...
- 명재유고(明齋遺稿) 제1권 -사부(辭賦), 시(詩) 윤증(尹拯 1629-1714] 명재유고 제1권 사부(辭賦) 시(詩) 사부(辭賦) 1 이충명추부(以蟲鳴秋賦) 2 귀거래사(歸去來辭)에 차운(次韻)하다 병서(幷序) 이충명추부...
- 칠봉산 블로그님 블로그 보기
-